전국 마을회관 경로당 지도 정보
공공데이터포털 '전국마을회관및경로당표준데이터', 카카오 '로그인, 지도, 블로그, 검색(이미지)', 네이버 '블로그, 검색(이미지)', Google 로그인 이용하여 개발되었습니다
버전 : 4 / 2024-12-16 03:07:34
매산2리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모현읍 곡현로 680-6
'매산3리'에서 0.4km
바로가기
일산2리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모현읍 외개일로 20
'매산3리'에서 1.4km
바로가기
일산1리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모현읍 문현로265번길 17-1
'매산3리'에서 1.4km
바로가기
일산3리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모현읍 월촌로 9-8
'매산3리'에서 1.6km
바로가기
매산1리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모현읍 곡현로 505-9
'매산3리'에서 1.6km
바로가기
일산4리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모현읍 곡현로847번길 24-1
'매산3리'에서 1.7km
바로가기
매산4리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모현읍 이일로 40-1
'매산3리'에서 2km
바로가기
신안1단지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모현읍 문현로 326
'매산3리'에서 2.1km
바로가기
마성3리 저수지 위의 친구네 고향집 농장에 이른다. 26, 27 농장주인 친구는 출타중이라 보지 못하고, 4월 들어 막 시작할 올해 농사의 준비 상태만 구경하며...이어지는 곡현로 315번 길의 금속 말 조각이 멋진 서가금속과 별장 조경이 아름다운 고개도 넘어 49 50 52 이일로로 들어서 매산4리회관과 다시 이어지는...
빛 곧 그림자(2024-06-21 09:37:00)
조선 후기의 오산(鰲山)은 20세기에 들어서 다시 오산(梧山)으로 바뀌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으로 동북면 오산동은 동탄면 오산리(梧山里)로 바뀌었다. 이 오산리가 현 화성시 오산동으로 계승되고 있다.'고 기재되어 있다. "구오산(舊梧山)은 무얼까..?.." <한국학중앙연구원/ 향토문화전자대전>에서 보니 '오산동...
안세영의 사진 창고(2023-11-22 08:15:00)
답내3리 마을회관 - 월산리 (후기) 2020년 한참 추운 날 매봉산 석산 두번 째 도전 ㅎㅎ 남양주 60산을 완등했다 남양주 60산 1. 천마산 812 일출과 운해 (남양주 8경중 4경) 2. 축령산 887.1 잣나무와 철쭉 (남양주 8경중 5경) 3. 온두산 686.3 북한강 조망 4. 오독산 654 조망 5. 서리산 832 철쭉 6. 화채봉 649 철쭉...
소금빛향기(2023-02-14 21:19:01)
태매산 0.35km 이정표있고 좌측 아래로 길게 있는 함동저수지가 영산강같이 보인다. 16 : 20/22. 태산(太山.207m).삼각점은 안보이고 정점엔 움푹 들어간 묘봉.물은 어디로 빠지는지?좌측으로 내려간다. 이정표(우측 한실 0.7km 뒤쪽 숭모당 0.35km. 좌측 보생 2.3km)는 묘 우측에 있다.<주의> 16 : 24. 키 큰 산죽밭을...
산경표를 따라서(2013-04-08 21:39:33)
개 → 매산사입간판(약2시간 소요, 원점회귀 산행) <출처 : https://www.anseong.go.kr/tour/themeTourist/view.do?mId=**********&idx=6#> <출처 : http://www.koreasanha.net/mount_course/map/es_m_3.htm> 6. 죽주산성 태평미륵이 등을 기대고 서 있는 매산리 비봉산에 죽주산성이 있다. 죽주산성은 신라 때 내성을...
구름따라 바람따라(2020-08-30 17:26:00)
답내3리마을회관→답내초등학교옆 9. 특징: ■매봉산(243m)은 경기도 남양주시 수동면 송천리에 소재한 산으로 매사냥터에서 유래한 산인듯 싶다. 이성계가 함흥...무리가 있다. 마석 매봉산 이름의 유래는 산의 옛 이름인 ‘뫼’가 '매산, '매봉', '매봉산'으로 변한 것으로 생각되며 인근지역에는 머재, 달뫼산, 맷돌...
인생은 "0"(2019-08-26 09:43:00)
직필의 『매산집』에는 「진사서석린전(進士徐錫麟傳)」이 전하여 주목된다. 김용한(金龍翰, 1738~1806)은 언양현 명촌리에서 출생하였는데 평생을 언양에서 살면서 언양에 관한 시문들을 많이 남겼다. 그는 특히 스승 서석린을 존경하여 호를 ‘수오선생을 생각한다’는 의미의 염수헌(念睡軒)이라고까지 하여 스승의...
즐거운 인생(2020-02-22 21:28:00)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전북 임실 출신으로 매산 홍직필(梅山 洪直弼)을 찾아 배웠고 뒤에 노사 기정진(盧沙 奇正鎭)과 교의로 교류했으며 지나치게 책읽기를 좋아해 서음(書淫) 일향(一鄕)의 선생이라고 불렀던 심재(心齋) 이곤수(李崑壽, 1808~1888)가 쓴 설정기(雪亭記. 沈氏雪亭記)에서 "설산 남쪽에 초악산이 특이...
오인교의 전라도누정기행(2020-04-12 06:13:00)
고려 후기. * 절터였다고 잔해지나 기록이 없음. 미륵불은 보호각을 지어 보존함. * 음성군 맹동면 본성리(本城里) 417. ○ 쌍정리 삼층석탑 : 고려. 향토문화유적. * 기단부는 매몰되어 보이지 않음. * 음성군 맹동면 쌍정3리 509-3. ○ 성주사지(聖住寺址) * 보현산 기슭 ‘성주골’에 있는 고려시대의 절터...
흐르는 강물처럼, 떠가는 구름처럼(2022-01-30 17:01:00)
조선후기에는 폐지하였다. 영장제를 시행하면서 충청도의 전·후·좌·우·중에 5명의 영장을 설치했는데, 공주에는 우영장겸토포사를 배치하였다. 영장의 휘하에 진영군관 10명, 토포군관 30명, 기패관 25명, 교사 10명, 진영리 5명을 두었다. 【군명】 웅천(熊川)ㆍ웅진(熊津)ㆍ웅주(熊州)ㆍ회도(懷道)ㆍ안절군(安節軍...
후무사(7월 자두) 과수원(2016-05-25 11:36:00)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
첨부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