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마을회관 경로당 지도 정보
공공데이터포털 '전국마을회관및경로당표준데이터', 카카오 '로그인, 지도, 블로그, 검색(이미지)', 네이버 '블로그, 검색(이미지)', Google 로그인 이용하여 개발되었습니다
버전 : 4 / 2024-12-16 03:07:34
식송노모당
경상남도 함양군 서상면 식송길 35-2
'육십령경로당'에서 2.1km
바로가기
식송경로당
경상남도 함양군 서상면 식송길 40-1
'육십령경로당'에서 2.1km
바로가기
조산노모당
경상남도 함양군 서상면 조산안길 14
'육십령경로당'에서 2.2km
바로가기
조산경로당
경상남도 함양군 서상면 조산안길 14
'육십령경로당'에서 2.2km
바로가기
복동경로당
경상남도 함양군 서상면 복동길 8-4
'육십령경로당'에서 2.4km
바로가기
동대경로당
경상남도 함양군 서상면 동대길 41
'육십령경로당'에서 2.7km
바로가기
수개경로당
경상남도 함양군 서상면 수개길 109
'육십령경로당'에서 3.5km
바로가기
맹동경로당
경상남도 함양군 서상면 맹동길 9
'육십령경로당'에서 3.6km
바로가기
산행한 후기를 작성해 보려고 합니다. 포스팅 시작하겠습니다! 오늘의 산 난이도 : ⭐️⭐️⭐️⭐️⭐️⭐️⭐️⭐️⭐️ BAC 100 - 열다섯 번째 포스팅 대한민국에서 TOP3 종주 코스 중...30km의 장거리 산행입니다! 🌄 덕유산 육구종주 📆 날짜: 2024.10.01 (화) 👣 코스: 육십령 ➡️ 할미봉(1026m) ➡️ 서봉(1492m) ➡️ 남덕유산 정상(1507m) ➡️ 삿갓봉...
산쟁이들의 우상(2024-10-08 12:24:00)
했다. 경로당에 도착하니 택시가 기다리고 있어 주차하고 배낭을 택시 트렁크에 넣고 서둘러 승차했다. 기사님이 아침이니 택시가 오지 오후엔 5만원 줘도 올까 말까 한단다. 서창마을에 하차하여 2만원 지불하고 화장실을 찾는데 선답자의 글처럼 화장실은 없었다. 음식점 화장실은 잠겨 있어 산행 준비하고 출발했다...
산 공 사 이(山空私利)(2024-03-13 14:15:39)
본격적인 후기로 돌아와... [1일차] 증산리-천왕봉-성삼재-만복대-수정봉-여원재 출발은 각 지부별로 증산리까지 2시반 집결이었다. 창원지부는 산짱 대장님이 픽업해 주셔서 편하게 증산리로 이동할 수 있었다. 창원에서 9월 30일 자정에 출발했다. 추석날 서둘러 고향에서 돌아와 산행 준비를 하고 잠을 자려고...
1대간 9정맥(2023-10-16 16:24:00)
8H 육십령 15:00 누적 9H 장계콜062-353-0005 그날의 이야기 속으로 고고! 고고! 이번 여행 살림살이 도맡을 고싸머기어 36리터 배낭입니다. 백두대간 1회차, 25시간 도상 55킬로를 가뿐하게 소화해준 암팡진 녀석입니다. 이번에도 부탁한다~잉 회사 퇴근하고 부랴부랴 짐꾸리고, 플랫폼. 집에서 센트럴터미널까지는...
나는 프리터다(2016-05-18 00:14:00)
대상동 경로당-대안리 주차장 백두대간 10.8km+접속구간 3.3km=14.1km를 5시간 20분 걸림 버스 기사가 또 바뀌었다 지난주 단풍구경 가던 산악회 관광버스가 고속도로에서 사고가 났다 안그래도 정작 등산 하는거 보다 산악회 버스 타고 가는일이 매번 부담스러운데 걱정도 팔자라더니 더 걱정이 된다 월 로저스는 "걱정...
초록별에 부는 바람(2016-11-09 11:30:39)
마을 경로당. 14 : 57. 언덕위 송리마을입구 버스정류장 삼거리.좌측 부동마을길로 15 : 02. 부동마을 입구삼거리로 원점회귀.버스는 하산지점인 유곡리에서...고기로 저녁먹고 출발. 19 : 10. 대-진고속도로,경부거쳐 천안도착. ◈ 산행후기. 요 며칠 눈도 엄청 많이 오고 날씨도 계속 추워 꼼짝 않고 카페 산행기들을...
산경표를 따라서(2012-12-10 19:39:18)
산행 후기 (창원51z) 오늘 우리 창원51팀 본대는 창원/진해 경계에 있는 불모산으로 가는 날이다. 불모산은 인근에서는 가장 높은 산이어서 새해에 한번 올라가보아야 할 산이다. 산행출발도 오후 1시이어서 오랜만에 느긋하게 일요일 맞을거라고 생각하고 있는데.... 토요일 오후쯤 대학후배한테 전화가 온다. 지난...
PEOPLE2NATURE(2008-02-08 23:04:59)
조선 후기 실학의 빛나는 성취 가운데 하나가 백두대간의 발견인 것이다. 백두대간이 이 땅의 줄기라면 당연히 가지가 있을 터, 그 가지에 해당하는 것이 바로 1개의 정간과 13개의 정맥이다. 그리고 정맥들 사이에는 반드시 강이 흐른다. 그래서 한강의 북쪽 산줄기는 ‘한북정맥’, 한강의 남쪽 산줄기는 ‘한남정맥...
!!....Vip Room....!!(2005-06-03 17:59:00)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
첨부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