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마을회관 경로당 지도 정보
공공데이터포털 '전국마을회관및경로당표준데이터', 카카오 '로그인, 지도, 블로그, 검색(이미지)', 네이버 '블로그, 검색(이미지)', Google 로그인 이용하여 개발되었습니다
버전 : 4 / 2024-12-16 03:07:34
석천경로당
전북특별자치도 익산시 낭산면 남천로 598-11
'상석경로당'에서 0.5km
바로가기
마산경로당
전북특별자치도 익산시 낭산면 함낭로 1295-91
'상석경로당'에서 1km
바로가기
신북경로당
전북특별자치도 익산시 낭산면 신북1길 2
'상석경로당'에서 1.1km
바로가기
석천대경로당
전북특별자치도 익산시 낭산면 석천대1길 1
'상석경로당'에서 1.3km
바로가기
상낭경로당
전북특별자치도 익산시 낭산면 아리랑로 818
'상석경로당'에서 1.5km
바로가기
가재경로당
전북특별자치도 익산시 여산면 가재길 11-39
'상석경로당'에서 1.6km
바로가기
하낭경로당
전북특별자치도 익산시 낭산면 하낭길 30-4
'상석경로당'에서 1.7km
바로가기
우금경로당
전북특별자치도 익산시 낭산면 우금길 14
'상석경로당'에서 1.8km
바로가기
聖信) 경로당.쉼터와 수로.도로따라 30번도로로 감. 15 : 59. 30번도로 지하차도앞 성산교회.지하 차도를 건너 좌측으로 붙음. 16 : 08. 86m봉밑 상수도 배수장. 16 :14. 86m봉. 심한 잡목. 16 : 21. KBS 중계소 오르는 수렛길. 16 : 26. KBS 도청 중계소. 16 : 29. 사투봉(169.2m)폐초소. 100m쯤 앞이 더 높아보임. 16...
산경표를 따라서(2011-09-07 12:11:00)
하면서 후기를 주로 사진으로 작성함은 인간의 만남이 또한 유한함을 알기에 어떤 연유로 비록 언젠가 헤어지더라도 추억 속에서 함께 하고자 함이고, 또 하나 이유가 있다면 걸으면서 보고 느낀 것을 글로 다 표현치 못하는 무능함에 있습니다. 그리고 한 가지를 더 든다면 누군가가 같은 길을 걷고자 할 때 작은 도움...
꿈★은 이루어진다.(2014-02-09 19:47:00)
개형상석/계곡 누운폭포) 13:42 소류지 (이정목:가산바위2.5/전워나을0.8/전원휴양센터1.2) 13:53/55(2) 윗산당(삼거리 종합안내도/가산2리 산당경노당) (※둘레길 7구간 종착지. 7구간종료 및 8구간 시작) 14:13 가산2리 아랫산당 (표지석/서낭당) 14:33 산당경노당으로 되돌아 나와.(다시 8구간 시작점으로) 14:38...
대구의산 (大邱宜山)(2019-05-24 19:56:48)
조선 후기에는 『해동지도』의 서일면 심수천 하류에 '고당포(高塘浦)'가 기록되어 기존의 '당(唐)'자가 '당(塘)'으로 바뀌어 표기 되는데 이 두 자는 이후에도 고당포의 표기자로 다시 쓰이게 된다. 『여지도서』에는 "고당강(高塘江)은 현 서쪽 25리에 있다. 전라도 진안으로부터 흘러와 적상산 물과 합류하여 옥천 적...
돌방머리1(2023-02-09 09:00:26)
조선후기에 건립된 서당(書堂)인 오회당(五懷堂)과 삼휴정(三休亭), 사의당(四宜堂) 등이 자리하고 있다. 모두 '경상북도 유형문화재'이다. 기룡산이라는 이름은 "말탈 기(騎), 용 용(龍)"자인데, 의상대사(義湘大師)가 묘각사(妙覺寺)를 창건할 때 동해의 용왕이 의상대사에게 설법을 듣기 위해 이곳까지 "말처럼...
💖 세븐의 아름다운 여정 💖(2021-05-23 11:51:34)
조선후기 혼란기 속에서 훼손되고, 홍수 등으로 일부 구간이 무너지고 방치되다가 1977년 홍지문과 함께 일부 구간이 복원되고 정비되었다. 족두리봉마저 구름에...길에선 내시묘역흔적을 볼 수 없다는... 산자락으로 들어서면 이곳저곳 상석들이 널부러져 있는 걸 볼 수 있다. 의상봉이 숨박꼭질을 반복한다. 여기소...
포토앨범 산(2013-07-14 23:52:59)
>>산행루트 : 지하철 경의중앙선 운길산역-능선-진중2리 산제사 상석-급경사구간-쉼터-헬기장-운길산 정상-헬기장-수종사-송천리방향-한음 이덕형선생 별서터-송천2리 경로당-연세중학교-6번국도-딸기하우스-조안보건소-물의정원-운길산역<< ^ 남양주시에 위치한 운길산 산행을 위하여 지하철 경의중앙선 운길산역에서...
최근철_산행앨범(2022-02-14 10:08:28)
조선 후기 1896년(고종33) 조선 8도제를 13도제로 개편할 때 풍기군 와룡면 엄현동(奄峴洞)으로 분리됐다. 1914년 일제(日帝)에 의한 행정구역 개편 때 영주군 봉현면 오현리에 속했다가 해방 후 오현4리로 분리됐다. 1980년 영풍군 봉현면 오현4리, 1995년 영주시 봉현면 오현4리가 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장군봉...
초암 이야기(2017-07-17 14:06:45)
산행후기 우리나라는 전통적으로 집을 짓거나 묘를 쓸 때 남향으로 한다. 남향으로 해야 해가 잘 들고 따뜻하며 아늑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설계나 지형상의 아주 부득이한 경우가 아니면 거의 대부분의 집이나 묘들이 남향을 하고 있는데 모두 서쪽을 향한 특이한 묘역이 서울에 있다. 그것도 필자가 사는 동네 뒷산이...
조인기의 산과 여행이야기(2009-04-06 12:04:10)
앞에는 상석, 왼쪽에는 묘비가 있고, 좌우에는 석인과 망주석이 세워져 있다. 경기도 기념물 제 13호로 지정되어 있다. ▲ 도로가의 이정표를 따라가다보면 좁은 농로길을 따라 올라간다. ▲ 묘역입구는 마을 끝에 있으며 별도의 주차장은 없다. 승용차만 겨우 지나 다닐수있는 좁은 농로길 이곳에서 왼쪽으로 100m정도...
한국의산천(2005-07-21 11:38:24)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
첨부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