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마을회관 경로당 지도 정보
공공데이터포털 '전국마을회관및경로당표준데이터', 카카오 '로그인, 지도, 블로그, 검색(이미지)', 네이버 '블로그, 검색(이미지)', Google 로그인 이용하여 개발되었습니다
버전 : 4 / 2024-12-16 03:07:34
2로 봉수의 출발점이자 다대포 지역의 소식을 전달하는 역할을 하였다. 서평진은 원래 다대진 휘하의 작은 요새에 지나지 않았으나 1555년(명종10) 을묘왜변이 발생한 후 진관제를 개편할 때 만호영으로 개편되었다. 서평진은 임진왜란 때 초토화되어 다대진에 합쳐졌다가 1668년(현종 9)에 원래 서평진 터에서 남쪽...
부산광역시 대표 블로그(2025-04-18 11:30:00)
사실도 후기 보기 전까지는 전혀 몰랐고 아내 역시 몰랐단다. 10년 전인데... 그나마 귀가길 송도랜드마크시티 일몰과 분위기가 기대 이상으로 좋아 백운산의...문학산) (만월산-문학산 뒤 관악산- 수리산) (안부 지나) (백운산 정상) (봉수대지가 있고) (조망안내판) (송도-인천대교-대부도) (인천대교-대부도-영흥도...
아름다운 오지산행(2024-09-19 07:45:52)
마을 경로당 좌측으로 도로따라 도청마을 30번국도가 보이고 사투봉이 보인다 우측으로 성산교회도 30번국도 지하도를 건너 사거리에서 좌측으로 간다 여기서 잠깐! 국도 지하도건너기전에 좌측으로 가면 30번국도지나는 작은 굴다리가 나오는데 그쪽으로 가는 방법이 좋을듯하다. 30번 국도 올라서기전 우측으로 임도가...
산마(2024-04-12 10:57:28)
진흥경로당 ▼ 축사 ▼ 까마귀가 잔뜩 모여있습니다. ▼ 수로 다리를 건너서... ▼ 지평선의 김제평야 ▼ 광활면 소재지 ▼ 수로를 따라서... ▼ 감자 재배 하우스 ▼ 양철로 지은 집을 지나서... ▼ 봉화산을 바라보고... ▼ 구름이 잔뜩 끼었습니다... ▼ 심포마리나 쪽으로... ▼ 강아지가 요란하게 짖습니다...
우체국길 99번길(2024-02-03 19:31:12)
조선후기 울산출신 시인이자 울산 방어진목장의 감목관을 역임하신 분 홍세태 님의 시가 새겨적 있다. 역사누리길답게 울산의 역사를 느낄 수 있는 시인의 작품을 전시했다. 말 모양의 벤치도 휴식 공간을 제공해 준다. 연륜이 느껴지는 소나무 굳이 나이테를 확인하지 않고 소나무 껍질만 보아도 연륜을 느낄 수 있을...
walking 챌린지(2023-12-28 11:06:00)
문화재연구원 ■ 탐방후기 : 단양 용부원산성은 단양군 대강면 용부원2리 경로당에서 북서 방향으로 직선거리 약 900m의 거리에 있는 산봉우리에 있다. 위 설명문의 위치에서는 북서 방향으로 직선거리 약 600m의 거리이다. 즉 단양IC에서 죽령으로 향하는 5번 국도의 도로 왼쪽 옆 산봉우리에 있다. 단양IC 입구에서는...
잊혀져 가는 山城을 찾아서...(2023-12-09 18:58:00)
장기산 봉수 설명판-LG U 이동통신탑-장계산(장기산, 봉대산, 226.8봉, 봉수대터)- 무명묘지들-비포장임도-팔각정 운동기구(장기산 등산안내도) 이정표(건강편백숲 600 m와 우주천문과학관 2.5 Km)- 둘목재-팽나무재(벤취쉼터2 안부)-171.4봉-비포장임도(벤취쉼터3)-140.8 무명봉(팔각정과 운동기구)-134.5봉 갈림삼거리...
칠갑산(2021-03-17 17:23:52)
리본과 표식이 비교적 잘 설치되여 있어서 시그널만 따라가면 된다, 고성리 경로당 도 지나가고 이런 마을길을 따라서 가다가 대수산봉으로 들어간다, 대수산봉...직경 29,6m 규모의 토축 봉수로 조선 초기에 소수산봉에 있다가 조선 중 후기에 이르러 대수산봉으로 옮긴 것으로 추정되며 상응 봉수로는 남서방향 독자...
물흐르듯이 순리대로(2021-03-25 00:33:01)
조선후기 화가로 이름 높은 겸재 정선(鄭敾)은 양천현감으로 있으면서 「열수팔경도」의 하나로「개화사」라는 제목으로 개화산과 절, 오솔길의 소나무숲과 그...도착... ▼ 봉화정 ▼ 2008년 여름의 모습... ▼ 봉수대 개화산봉수(開花山烽燧) 개화산봉수는 개화산 북쪽 상봉에 있으며, 속칭 봉화뚝이라 한다. 조선시대...
꿈★은 이루어진다.(2018-03-03 17:52:09)
회관, 경로당과 정자를 지난다. 10 ; 20. 어느집 문중 사당인 공후제를 지난 언덕길을 오른다. 10 ; 23. 2차선도로.오산1리 → 표지판. 좌측으로 도로따라 가며 오석산이 보인다. 봉수지맥 마루금이다. 10 ; 27. 2차선도로에서 우측 산길로 든다.화암사 표지판과 빛바랜 등산안내판. 10 ; 32. 김정희선생필적 소봉래...
산경표를 따라서(2018-01-30 11:54:55)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
첨부파일